티스토리 뷰

 

 

최근 안동을 비롯한 경북 북부 지역에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면서,
수많은 이재민들이 보금자리를 잃고 긴급 대피 중입니다.

 

특히 안동, 의성, 청송, 영덕, 영양 등을 중심으로
수천 헥타르에 달하는 산림이 불에 타고
주택, 시설, 휴게소까지 전소되면서
사상 최악의 산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 긴급한 상황 속에서
정부와 민간단체들이 피해 주민을 위한 기부 모금과

지원금 신청 절차를 마련하고 있어


오늘은 안동 산불피해 관련 기부 참여 방법과

지원금 신청방법을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현재 피해 상황 요약 

 

  • 산불 발생지: 의성 →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
  • 피해 면적: 약 3만 3천 헥타르 이상
  • 이재민 수: 약 24,000여 명
  • 진화율: 50% 이하 (기준 시점)
  • 시설 피해: 주택 117동, 공공시설 수백여 곳 피해
  • 휴게소 화재: 청송휴게소 전소, 주차장도 전소 피해

 

 

 

 

 안동 산불피해 기부 방법

 

1.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 기부 계좌: 국민은행 054-99090-777

 

  • 예금주: 희망브리지

 

  • 기부 방법:
    •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모두 가능
    • 공식 홈페이지 에서도 직접 기부 가능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 영수증 발급: 연말정산 소득공제용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

 

✔ 현재는 ‘경북 산불 긴급모금’이라는 이름으로 집중 모금 중입니다.

 

 

2. 대한적십자사 긴급재난 기부

 

  • ARS 기부: 060-707-1070 (한 통화 3,000원)
  • 온라인 기부
  • 기부금 사용처: 이재민 구호품, 임시 거처 마련, 생필품, 식사 지원 등

 

대한 적십자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 적십자사는 전국 단위로 구호 인력 및 물품을 투입 중입니다.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온라인 모금 캠페인
  • 기부처리: 개인 또는 기업 기부 가능 / 기부내역 투명 공개

 

사랑의 열매 홈페이지 바로가기

 

 

 산불 피해 주민을 위한 지원금 신청 방법

 

1. 정부지원 긴급 생계비 및 임시거처 지원

 

  • 지원 대상:
    • 주택 피해 이재민
    • 임시 대피소 생활자
    • 직접 피해를 입은 농가 및 자영업자

 

  • 신청처:
    •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시청 재난안전과
    • 또는 현장에 설치된 재난현장 통합지원센터

 

  • 지원 내용:
    • 생계비(1인 가구 기준 약 60~100만 원 일시 지급)
    • 임시거처 제공 (숙박업소, 공공시설 등)
    • 심리지원 서비스, 의료비,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 감면

 

2. 재해구호법에 따른 정부 보상 및 복구비

 

  • 산림청 및 행안부 공동 집행

 

  • 절차:
    1. 피해 접수 →
    2. 실사 →
    3. 피해 유형별 보상 (주택, 농지, 시설 등)

 

  • 유형별 보상 예시:
    • 주택 전소: 최대 1,500만 원 보상
    • 농가 피해: 가축, 농기구 등 실비 보상
    • 시설 파손: 보수비 지원

 

✔ 피해 사실을 정확히 입증할 수 있는 사진·영상·세금자료 등 보관이 중요합니다.

 

 

꼭 기억하세요!

 

 

  • 피해접수 마감 전까지 신청해야 보상 및 복구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모금은 대부분 일시적인 긴급 기부 캠페인이므로,
    참여 의사가 있다면 빠르게 동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라서 이겨낼 수 있습니다

 

이번 안동 산불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아간

대규모 재난입니다.

 

 기부는 작지만 큰 위로가 될 수 있고,
 피해자분들에게는 하루라도 빨리

지원금 신청과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과 연대가
이 힘든 상황을 견디는 큰 힘이 됩니다.
하루빨리 피해 지역이 회복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반응형